대한민국 일하기 좋은 100대 기업 선정 Q & A
1. 대한민국 일하기 좋은 100대 기업 선정 제도의 가장 큰 특징은?
우리나라에는 메이저 기관, 각 단체, 정부 등에서 주관하는 약 200 여 개의 시상제도가 있으며,
미국은 약 3,000여 개 이상의 시상제도가 있다.
저마다 그 명성과 권위를 가지고 잘 운영하고 있지만, 평가의 주체는 전문가나 교수진으로 대부분
이루어져 있는데 반하여, 대한민국 일하기 좋은 100대 기업 선정은 유일하게 해당 회사나 기관의
내부 구성원들(직원)이 직접 자기 회사를 평가하는 세계 유일의 구성원 관점의 시상제도이다.
이것은 외부 전문가로부터의 평가 결과에 따른 시비에 휘말릴 가능성이 전혀 없다는 것을 의미하며
평가에서 가장 중요한 진실성, 객관성, 정확성을 담보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2. 대한민국 일하기 좋은 100대 기업 선정은 어떠한 프로세스로 이루어지나?
제 1차 구성원들의 직접 평가인 Trust Index 평가(전수조사 원칙), 제 2차 구성원들의 살아 있는 소리
(Voice of Employee)를 평가하는 Employee Comment 평가, 제 3차 해당 기업의 Culture Audit(신인사 9 Practice)
평가로 이루어진다.
제 1차 신뢰조사 – 제 2차 구성원 소리 – 제 3차 공적서(서류 30페이지)
평가 기간은 약 1개월 정도 소요된다.
3. 제 1차 Trust Index 평가는 어떻게 이루어지나?
해당 회사의 전 직원을 대상(전수조사 원칙)으로 58개 평가 항목을 직접 평가하는 방식이며,
평가척도는 5점 척도로 이루어진다.
단, 여느 평가 제도는 보통 평균 값을 구해 반영하지만, TI 평가는 긍정지수(4점과 5점)영역만을
웨이트화 시키고 1,2,3점의 값은 Skip(단, 1,2점의 부정지수, 3점의 유보지수는 평가 결과보고서에는
분석)함으로써 가장 진솔되고 정직한 값을 도출해 낼 수 있는 것이다.
긍정지수(4,5점 영역)만 지수화!
(1,2점-부정지수 / 3점-유보지수는 반영하지 않고 단 결과보고서에는 비교, 분석)
평균 값을 구해 내는 조사는 점수가 낮더라도 약 5,60 점은 나오는데 반해, TI조사는 30점
(30%) 미만의 결과가 많이 나올 수도 있으며, 역으로(조직 로열티가 있는 기업)은 8,90점(%)이상
의 결과가 나올 가능성이 높다고 할 수 있다.
(매년 대한민국 일하기 좋은 100대 선정기업의 최상위 기업은 약 95점(95%)이상이 나오고 있다)
4. 제 2차 평가 Employee Comment(구성원들의 소리) 어떻게 평가하나?
제 1차 조사인 Trust Index 평가 시 같이 평가하며, 2가지 설문(긍정과 부정 질문)으로 구성되어 있다.
긍정질문(특장점) – 우리 회사를 일하기 좋은 곳으로 만들고 있는 독특한 제도나 활동이 있다면 구체적인 예를 들어 기술해 주십시오.
부정질문(개선사항) – 우리 회사를 일하기 좋은 곳으로 만들기 위해서 개선해야 할 점은 무엇입니까?
구성원들의 진솔하고 정직한 소리 추출 및 평가!
구성원들의 살아있는 소리를 익명으로 평가하여 조직활성화에 반영할 수 있는 큰 장점이 있다.(평가 결과보고서에 분석내용 제공)
5. 구성원들이 어떻게 평가에 참여하나?
핸드폰을 통하여 Any time, Any where 조사가 가능(지하철이나, 버스안, 자택 등에서 전혀 회사와 상사의
눈치를 보지 않고 조사 -완벽한 익명보장)하며, 이것은 구성원들의 살아 있는 진솔한 평가를 받을 수
있는 가장 중요한 기회가 될 수 있다.
7,80% 이상 조사 참여율의 객관성 확보와 Real time 피드백 시스템으로 정직한 데이터 추출!!
일반 조사의 참가율은 좀처럼 4,50%를 넘기 어려운데 반하여, 본 조사는 피조사대상자가 조사를 하자마자 Real time으로 자신의
조사결과를 볼 수(비교,분석된) 있다.
이러한 획기적인 시스템을 통해 조사 참가율이 7,80% 이상이 나오고 있어 객관적인 데이터로 평가하기에 충분하며, 나아가 자신의
조사결과를 직접 그리고 바로 볼 수 있다는 것으로 인하여 정직하고 솔직한 데이터를 추출할 수 있다.
6. 제 3차 평가는 어떻게 이루어지나 ?
제 3차 평가인 Culture Audit(기업문화 경영 평가)은 총 9 Practice(핵심적인 내용 30페이지 요약 제출)로 구성되어 있다.
평가내용의 가장 큰 특징은 인사 및 조직문화에 대한 평가가 회사관점이 아니라 전부 구성원 관점으로 이루어져 있다.
9 Practice(30페이지 요약 제출) – 일련의 준비와 과정을 통하여 컨설팅 효과!
각 Practice별 특정제도가 ‘있다 없다’ 그리고 특정 활동을 ‘했다 하지 않았다’ 로 크게 평가하며, 이러한 일련의 준비와 과정을
통하여 해당 기업의 인사 및 조직문화의 컨설팅( Culture Audit 기준 제공) 효과를 얻을 수 있다.
7. 평가결과는 어떻게 받아 보나 ?
여느 시상제도와는 다르게 대한민국 일하기 좋은 100대 기업 선정은 단지 평가를 통해 상을 드리는데
그치지 않고, ‘신뢰경영 전략 Feedback 보고서’를 제공하여 글로벌 58개 국가(미국, 독일, 일본 등),
한국 산업, 업종별 그리고 성별, 연령별, 직급별 등 인구통계학별의 세부적인 분석보고서를 제공함으로써
자사의 수준을 비교하여 전략적인 방향을 잡아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한다.
8. TI 데이터의 질적 수준은?
세계 58개 국가, 산업별(제조, 금융, 서비스, 판매유통, 공공 등), 인구통계학별 등 매년 약 1,500만 ~ 2,000만 명 이상의 TI 조사 참가 Big 데이터를 비교, 활용하기 때문에 가장 객관적이고 가치 있는 데이터라 할 수 있다.
매년 Big 데이터를 통해 미국, 일본, 독일 등의 글로벌 비교, 한국 산업, 업종별 비교, 성별, 연령별, 직급별 비교 등 가장 객관적인 테이터 제공!
이러한 데이터는 중앙정부의 고용노동부나 지자체의 각 연구소, 대학, 각 단체 등에서는 가지고 있지 않고 오로지 Great Place To Work에서만 관리하고 제공할 수 있다.
9. 대한민국 일하기 좋은 100대 기업에 선정되면 언론보도는 어떻게 이루어지나?
선정결과는 매일경제, 한국경제, 조선일보에 특집기사로 릴리즈 되며, 월간 CEO &, 대학내일 등의 주요 매거진에 특집으로 매년
보도된다.
100대 기업 선정사실을 가장 많은 매체에서 보도!
아울러 각 산업신문, 인터넷 매체 등 100여개 이상의 매체에서 대대적으로 선정내용을 보도한다. 한국의 주요 시상제도 중에서
가장 많은 매체에서 릴리즈 되고 있다.
10. 선정되면 어떤 면이 좋아지나?
‘대한민국 일하기 좋은 100대 기업 선정’제도는 자사의 구성원들이 평가한 결과를 가지고 선정하는 시상제도 이기 때문에 가장
객관적으로 평가받는 시상제도이다.
기업이미지 향상! 훌륭한 인재확보! 매출증대와 고객만족 향상!
먼저 기업의 이미지에 가장 좋은 영향을 끼친다. 그리고 구성원이 신뢰하는 직장으로 인증 받아 훌륭한 인재를 확보할 수 있는
절호의 기회를 가질 수 있다.
만족한 직원들이 만들고 제공하는 상품과 서비스라는 선한 이미지를 획득하게 되어 기업의 매출증대와 고객만족 향상에 결정적인
역할을 하게 된다.